생활꿀팁

2026년 최저임금, 내 월급 오를까? 지금 꼭 알아야 할 5가지

아재만랩 2025. 6. 22. 10:13
반응형

 

1만1500원 vs 1만30원. 현재 대한민국의 노사 간 최저임금 논쟁은 생각보다 더 팽팽합니다. 특히 2025년 최저임금위원회가 결론을 내리기 직전, 과연 2026년 내 월급은 얼마나 오를 수 있을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  지금까지 나온 양측 입장 요약

  • 노동계: 2026년 최저시급으로 11,500원 요구 (인상 필요)
  • 경영계: 현재와 같은 10,030원 동결 주장 (인건비 부담)

이 둘의 차이는 시급 기준 1,470원. 월급으로 계산하면 한 달 약 30만원의 차이입니다.

 

📌  최저임금 오르면 월급 얼마 받을까?

▶ 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시급 월급 (세전)
10,030원 (현행) 2,096,270원
11,500원 (요구안) 2,403,500원

 

📌  자영업자는 어떤 입장인가?

경영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주휴수당 포함하면 실질 시급은 12,000원 이상이다.”
  • “11,500원은 실질 시급 13,800원에 달해 부담이 크다.”
  • “음식·숙박업 등은 이미 인건비 한계 상황”

 

📌 4. 노동계는 왜 인상을 주장하나?

노동계는 이렇게 주장합니다:

  • “물가는 올랐는데 실질임금은 제자리
  • 저임금 노동자의 소비지출이 늘어야 소상공인도 웃는다”
  • “최저임금은 단순한 월급이 아니라 사회안전망이다”

 

📌 2026년 인상은 언제 결정되나?

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 6월 29일까지 법정 시한 내 결론을 내려야 합니다.
다음 회의는 6월 26일 예정이며, 공익위원 조정안이 핵심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마무리: 지금 준비할 것

아직 결정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받는 시급, 주휴수당 포함 여부, 업종별 적용 여부 등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영업자라면? → 인건비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시고, 정부 보조금 및 세액공제 확인 필요
알바·직장인이라면? → 고용계약서, 주휴수당 지급 기준 점검 필수

 

 

#2026최저시급 #2026최저임금 #최저임금인상률 #2026년최저시급월급얼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