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만1500원 vs 1만30원. 현재 대한민국의 노사 간 최저임금 논쟁은 생각보다 더 팽팽합니다. 특히 2025년 최저임금위원회가 결론을 내리기 직전, 과연 2026년 내 월급은 얼마나 오를 수 있을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 지금까지 나온 양측 입장 요약
- 노동계: 2026년 최저시급으로 11,500원 요구 (인상 필요)
- 경영계: 현재와 같은 10,030원 동결 주장 (인건비 부담)
이 둘의 차이는 시급 기준 1,470원. 월급으로 계산하면 한 달 약 30만원의 차이입니다.
📌 최저임금 오르면 월급 얼마 받을까?
▶ 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시급 | 월급 (세전) |
---|---|
10,030원 (현행) | 2,096,270원 |
11,500원 (요구안) | 2,403,500원 |
📌 자영업자는 어떤 입장인가?
경영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주휴수당 포함하면 실질 시급은 12,000원 이상이다.”
- “11,500원은 실질 시급 13,800원에 달해 부담이 크다.”
- “음식·숙박업 등은 이미 인건비 한계 상황”
📌 4. 노동계는 왜 인상을 주장하나?
노동계는 이렇게 주장합니다:
- “물가는 올랐는데 실질임금은 제자리”
- “저임금 노동자의 소비지출이 늘어야 소상공인도 웃는다”
- “최저임금은 단순한 월급이 아니라 사회안전망이다”
📌 2026년 인상은 언제 결정되나?
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 6월 29일까지 법정 시한 내 결론을 내려야 합니다.
다음 회의는 6월 26일 예정이며, 공익위원 조정안이 핵심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마무리: 지금 준비할 것
아직 결정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받는 시급, 주휴수당 포함 여부, 업종별 적용 여부 등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영업자라면? → 인건비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시고, 정부 보조금 및 세액공제 확인 필요
알바·직장인이라면? → 고용계약서, 주휴수당 지급 기준 점검 필수
#2026최저시급 #2026최저임금 #최저임금인상률 #2026년최저시급월급얼마
반응형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충 씻지 마세요! 2025년 잔류농약 가장 많은 채소 12가지 공개 (0) | 2025.06.22 |
---|---|
에어컨 ‘오토 버튼’만 눌러도 전기세 40% 절약된다? (1) | 2025.06.22 |
재산세 늦게 내면 벌금 붙어요 – 연체이자, 분할납부법 총정리 (0) | 2025.06.18 |
2025년 재산세 계산법 완벽 정리 (0) | 2025.06.17 |
재산세 납부 증명서 발급 방법 총정리 (2)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