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도 탈선 사고란?
철도 탈선은 열차가 궤도를 이탈하여 선로 바깥으로 벗어나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기계적 결함, 신호 시스템 오류, 운행 과속, 또는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탈선 사고는 충격이 크고 다수의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생존의 열쇠가 됩니다.
2. 사고 발생 전 알아두어야 할 안전 수칙
- 열차 탑승 시 비상 탈출구와 소화기, 비상망치 위치를 확인합니다.
- 좌석에 앉을 경우, 짐은 선반에 안전하게 올리고 출입구 근처에 무거운 짐을 두지 않습니다.
- 잠을 잘 경우에는 벨트나 가방 끈 등으로 몸을 간단히 고정해 둡니다.
3. 철도 탈선 사고 발생 시 대처 요령
3.1 충격 직후, 즉시 몸을 보호
탈선 시 강한 진동과 충격이 발생하므로, 머리와 가슴을 보호하는 자세(거북이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가능한 경우, 의자 밑으로 들어가거나 짐 사이에 몸을 숨겨 충격을 분산시킵니다.
3.2 사고 직후 주변 상황 확인
충격이 멈추면, 연기나 불꽃, 전선 노출 여부 등을 빠르게 확인합니다. 이때, 정전이나 유리 파편 등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조심스럽게 움직이세요.
3.3 안전한 탈출 경로 확보
- 비상망치로 창문을 깨고 탈출: 비상망치는 주로 창문 옆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석(모서리)을 강하게 가격해야 유리가 쉽게 깨집니다.
- 출입문이 작동하지 않으면 수동 개방 장치를 이용합니다. 문 옆에 수동 손잡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불이 난 객차는 즉시 벗어나고, 아래쪽으로 이동: 연기는 위로 퍼지므로 낮은 자세로 움직이며 탈출하세요.
4. 구조대 도착 전 대기 시 주의사항
안전하게 탈출했더라도 선로 주변은 위험합니다. 다른 열차가 추가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철도 선로에서 최소 30m 이상 떨어진 안전한 곳에서 대기합니다. 구조 요청은 119 또는 철도사고 전용 번호(코레일 1588-7722 등)를 활용하세요.
5. 철도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철도는 비교적 안전한 교통수단이지만, 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소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와 행동요령을 숙지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생존 확률을 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