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면 '더위 먹은 거 같아.'라는 말을 하게 되는데요. 뜨거운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있을 때, 열로 인해 여러 가지 온열질환이 발생합니다. 약간 어지러움을 느끼는 사람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온열질환. 종류와 대처법, 치료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열질환의 종류
더위로 인해 수분이 부족하여 탈진한 경우 : 일사병(열탈진)
대표적인 온열질환은 '일사병'입니다. 장시간 고온 환경에 노출된 상황에서 적절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주지 않으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어지럼증, 피로, 오심, 무력감, 발열, 홍조, 빈맥, 구토, 혼미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사병(열탈진) 대처법
위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나무 그늘이나 건물 안으로 들어가 안정을 취하고 물과 전해질을 보충해줘야 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라면 병원으로 이송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땀이 나지 않고 오심, 구토, 의식을 잃은 경우 : 열사병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인이나 심장질환자, 치매환자, 알콜중독자 등이 오랜 시간 노출 되었을 때, 심부의 체온은 40도가 넘어가고, 오심과 구토가 심하며, 의식을 잃으려고 하지만 땀이 나지 않는 게 특징입니다.
▶ 열사병 대처법
이럴 때에는 그늘로 옮겨 옷을 풀어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주고,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바로 이송해야 합니다.
여름철에 장시간 운동 후 근육 경련 발생 : 열경련
여름에 장시간 운동을 하면서 땀을 흘리면 근육경련이 더 자주 일어납니다.
▶ 열경련 대처법
시원한 그늘에서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전해질이 들어 있는 음료를 마시거나 소금을 넣은 물을 마셔 수분을 보충해줘야 합니다.
더위로 인해 실신한 경우 : 열실신
노인이나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더위에 약합니다. 이때, 높은 온도에 적응하지 못해 가벼운 실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혈액의 용적은 줄어들고 말초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 열실신 대처법
단순 열실신인 경우에는 안정을 취하면 쉽게 회복이 됩니다. 시원한 그늘을 찾아 호흡과 맥박을 체크하면서 수액을 보충해줍니다.
햇빛으로 인해 피부가 달아오르고 물집이 생긴 경우 : 일광화상
썬크림을 발라도 햇빛으로 인해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심한 경우에는 물집이 잡히기도 하는데요. 이것을 일광화상이라고 합니다.
▶ 일광화상 예방법
한 낮의 외출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고, 얇고 긴 옷을 입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줘야 합니다. 또한 썬크림을 발라주어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게 좋습니다.
▶ 일광화상 대처법
이미 화상을 입은 경우라면 찬물로 열감이 있는 부위를 찜질해주고,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드시면 도움이 됩니다.
온열질환 예방 수칙
여름마다 온열질환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데 아래의 5가지는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 낮 시간(12시~17시) 외부활동 피하기
한 낮의 온도가 가장 높고, 자외선 지수가 높은 12~17시 사이에는 외부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65세 이상의 노인, 심장병 환자, 이뇨제나 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 등. 만성적 약물 복용자, 치매환자,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일수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충분한 수분을 보충하기
생수나 이온음료를 챙겨 다니며 규칙적으로 수분을 보충해주시기 바랍니다.
▶ 야외작업 시, 휴식 취하기
야외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중간 중간 그늘에서 휴식을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상 증세 발생 시, 도움 요청하기
갑자기 어지럽거나 메스꺼움, 탈진 증세가 느껴지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구조대에 신고하셔서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밀폐된 차량 등에 어린이, 노인을 절대 혼자 두지 않기
매년 어린이 통학차량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접합니다. 밀폐된 차량 등에 어린이, 노인을 절대 혼자 두지 않아야 합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묵의 적, 콜레스테롤! 치매를 부른다! (1) | 2025.03.18 |
---|---|
두통 종류별 원인과 치료법(경추성 두통, 긴장성 두통, 박동성 두통, 턱관절 두통, 부비동 두통) (0) | 2022.06.14 |
노인 고혈압 치료법! 혈압 수치를 고려하라! (0) | 2022.06.10 |
틀니전용세정제 사용해야 구내염 예방 가능 (0) | 2022.06.10 |
시나몬 가루와 계피 차이 및 효능 (0) | 2021.12.01 |